아기들은 월령, 연령에 따라 충분한 수면시간 확보가 필요하나, 그렇지 못할 경우 짜증을 낼 수 있으며 성장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따라서, 각 시기별 아기들에게 필요한 총 수면시간 가이드라인을 확인하고 수면 패턴 및 수면 관련 주의사항을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개월수별 총 수면시간 가이드라인
개월수 | 낮잠 횟수 | 총 수면시간 |
~ 4개월 | 3 ~ 4회 | 14 ~ 17시간 |
~ 6개월 | 3회 | 12 ~ 15시간 |
~ 9개월 | 2 ~ 3회 | |
~ 11개월 | 2회 | |
~ 24개월 | 1 ~ 2회 | 12 ~14시간 |
~ 36개월 | 1회 | |
~ 48개월 | 1회 | 12 ~ 13시간 |
위의 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수면시간 및 낮잠 횟수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며, 개별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우리 아기의 생체리듬에 맞춰 수면시간 계획을 수립하시기 바랍니다. 계획 수립 시 참고하셔야 할 사항은 수유 텀과 낮잠시간의 관계입니다. 기본적으로 '먹고, 놀고, 자는 시간'을 한 사이클로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4개월 아기의 경우, 먹고 노는 시간을 1시간으로 하고 자는 시간을 2시간으로 하는 사이클을 고려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3시간을 한 사이클로 가져갈 경우 낮잠 횟수 4회 적용 시 총 8시간의 낮 수면시간이 확보되고 6~9시간 밤잠을 재우게 되면 4개월 아기의 총 수면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 수면시간은 2시간을 기준으로 하실 것을 추천드리며, 먹고 노는 시간을 1~2시간으로 조정하여 낮잠 횟수 조절이 가능합니다.
수면 패턴 - 렘수면, 비렘수면의 이해
한 사이클당 낮잠 시간을 2시간으로 추천드리는 이유는 렘수면과 비렘수면으로 구분되는 수면 패턴 때문입니다. 두 가지 패턴은 안구의 움직임 관찰에 따른 수면 단계의 구분입니다. 렘수면은 안구가 급속히 움직이는 것이 관찰되는 단계의 수면이며, 비렘수면은 안구 운동이 실질적으로 없는 상태를 이야기합니다. 렘수면은 뇌 발달에 영향을 주고, 비렘수면은 몸의 피로 해소와 신체를 성장시키는 성장호르몬이 분비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 가지 패턴은 수면 중에 번갈아 가며 나타나며, 신생아 시기에는 렘수면의 비율이 50%를 차지하고, 성장하면서 그 비율이 점점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렘수면을 얕은 잠, 비렘수면을 깊은 잠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수월합니다. 아기들이 1시간 기준 깊은 잠과 얕은 잠을 세트로 자게 되므로, 최소 1시간에서 2시간의 수면시간을 확보해 주시는 게 아기들의 성장에 도움을 주실 수 있습니다.
아기 수면 관련 주의사항
아기들은 낮잠을 자지 못할 경우 기분이 좋지 않아 수면 텀이 벌어지면 짜증을 많이 내게 됩니다. 아기들이 짜증을 내게 되면 결국 양육을 하는 엄마, 아빠가 힘들어지게 되므로 아기의 수면 계획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주셔야 합니다. 이외에도 아래의 주의사항을 확인하시면 아기들 수면에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
- 낮에 놀 때는 커튼을 걷어서 밝게 해 주고, 잠이 들려고 하면 커튼으로 어둡게 하여 편안하게 잘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줍니다.
- 아기가 잘 때 스스로 뒤집으면서 자야 하므로, 주변에 방해되는 물건이 없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 안아서 재울 경우, 잠드는데 오래 걸리므로 아기가 누워서 스스로 잠들 수 있게 도와주셔야 합니다.
아기들은 깨어 있을 때 경험이 가장 중요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 후에 행복한 수면을 취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기가 깨어 있을 때는 즐겁고 행복한 시간을 함께 해주시고 잠에 들 때는 행복한 수면이 될 수 있도록, 수면시간, 수면 패턴 및 수면 관련 주의사항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휴직 급여 신청, 지급(feat. 근로자 vs 공무원 비교) (0) | 2022.08.21 |
---|---|
어른 수족구 초기 증상, 자가격리 (0) | 2022.08.12 |
아기 수족구 초기 증상, 대응방법 (0) | 2022.08.08 |
아기 통잠 재우는 수면의식 방법 (0) | 2022.07.12 |
신생아/영아의 올바른 분유 수유를 통한 주체성 부여 (0) | 2022.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