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여름을 식히기 위해 에어컨을 열심히 작동시킨 결과, 전기세 폭탄이 다가오고 있었습니다. 전기 사용량은 약 1,000kWh를 돌파하였고, 전기요금은 30만원이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기세 계산 방법을 알아보고 최적의 사용전력량 및 구간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전기세 계산 방법
전기요금은 ①기본요금, ②전력량요금, ③기후환경요금, ④연료비조정요금으로 구성되며, 청구금액은 전기요금, ⑤부가가치세, ⑥전력산업기반기금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전기요금은 사용량이 많을수록 요금의 단가가 비싸지는 누진요금제도로 되어 있습니다.
1. 사용전력량 확인(관리사무소를 통해 확인)
2. 사용전력량에 따라 요금표에서 ①기본요금, ②전력량요금 확인
3. ③기후환경요금=기후환경요금단가(7.3원/kWh, '22.4월 기준)×사용전력량, 단가 매년 변동
4. ④연료비조정요금=연료비조정단가(5원/kWh, '22년 3분기 기준)×사용전력량, 단가 매분기 변동
5. ⑤부가가치세=전기요금×10%
6. ⑥전력산업기반기금=전기요금×3.7%
7. 청구요금=전기요금(①기본요금+②전력량요금+③기후환경요금±④연료비조정요금)+⑤부가가치세+⑥전력산업기반기금
전기요금 할인 신청방법 및 대상
한전에서는 주거용 주택용 전기 사용가구를 대상으로 전기요금 복지할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산가구, 대가족, 3자녀 이상 가구 등 전기요금 할인 대상에 대한 상세 기준 및 할인 금액을 확
sebabo.tistory.com
1. 사용전력량 확인
전기계량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으나, 전월 사용량이 표기되는 전자식 계량기가 아니라면 현재 누적 사용량만 확인 가능하므로 매달 검침일에 맞춰 사용량을 기록해 두셔야 합니다. 관리사무소에서 사용량을 별도로 관리한다면 관리사무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계량기 위치는 층마다 EPS실이 있는 경우 EPS실 안에서 확인 가능하고, 그 외 복도 및 계단실에 위치해 있습니다.
2. 사용전력량에 따라 전기요금표에서 기본요금, 전력량요금 확인
- 주택용전력(저압, 하계)
기본요금(원/호) | 전력량요금(원/kWh) |
300kWh이하 사용 : 910 | 처음 300kWh까지 : 93.2 |
301~450kWh 사용 : 1,600 | 다음 150kWh까지 : 187.8 |
450kWh초과 사용 : 7,300 | 450kWh초과 : 280.5 |
*하계 : 7월 1일~8월 31일
*슈퍼유저요금 : 하계 1,000kWh초과 전력량요금은 709.4원/kWh 적용
- 주택용전력(저압, 기타계절)
기본요금(원/호) | 전력량요금(원/kWh) |
200kWh이하 사용 : 910 | 처음 200kWh까지 : 93.2 |
201~400kWh 사용 : 1,600 | 다음 200kWh까지 : 187.8 |
400kWh초과 사용 : 7,300 | 400kWh초과 : 280.5 |
*기타계절 : 1월 1일~6월 30일, 9월 1일~12월 31일
*슈퍼유저요금 : 동계(12월 1일~2월 말일) 1,000kWh초과 전력량요금은 709.4원/kWh 적용
- 주택용전력(고압, 하계)
기본요금(원/호) | 전력량요금(원/kWh) |
300kWh이하 사용 : 730 | 처음 300kWh까지 : 78.2 |
301~450kWh 사용 : 1,260 | 다음 150kWh까지 : 147.2 |
450kWh초과 사용 : 6,060 | 450kWh초과 : 215.5 |
*하계 : 7월 1일~8월 31일
*슈퍼유저요금 : 하계 1,000kWh초과 전력량요금은 574.5원/kWh 적용
- 주택용전력(고압, 기타계절)
기본요금(원/호) | 전력량요금(원/kWh) |
200kWh이하 사용 : 730 | 처음 200kWh까지 : 78.2 |
201~400kWh 사용 : 1,260 | 다음 200kWh까지 : 147.2 |
400kWh초과 사용 : 6,060 | 400kWh초과 : 215.5 |
*기타계절 : 1월 1일~6월 30일, 9월 1일~12월 31일
*슈퍼유저요금 : 동계(12월 1일~2월 말일) 1,000kWh초과 전력량요금은 574.5원/kWh 적용
저압과 고압은 공급받는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대부분의 주택은 저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단지의 아파트에서는 고압을 공급받아 사용하기도 합니다. 전기요금 청구서를 한전에서 수령하지 않고 아파트 전체가 하나의 고객번호로 계약되어, 세대별 전기요금을 관리비 내역에서 확인 가능한 경우 고압 아파트에 해당되니 한전의 전기요금 청구서 수령 여부를 파악해보시기 바랍니다. 저압은 한전으로부터 표준전압 220~380V로 공급받아 별도의 변압설비가 필요 없으나, 고압은 별도의 변압기가 필요합니다. 한전 전기요금 표상 저압이 고압보다 단가가 비싸나, 고압은 별도의 설비 설치와 설비에 대한 추가적인 관리비가 들어가는 단점이 있어 일반 주택에서는 저압으로 사용합니다.
3. 기후환경요금=기후환경요금단가(7.3원/kWh, '22.4월 기준)×사용전력량, 단가 매년 변동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입니다. RPS, ETS, 석탄발전 감축비용이며, 부과방식은 기후환경요금단가 곱하기 사용전력량입니다. 단가는 매년 변동되는 기준입니다. *RPS(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 : 신재생에너지 의무이행 비용, ETS(Emission Trading Scheme) :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비용
4. 연료비조정요금=연료비조정단가(5원/kWh, '22년 3분기 기준)×사용전력량, 단가 매분기 변동
연료비 변동분(석탄, 천연가스, 유류)을 반영하는 요금입니다. 부과방식은 연료비조정단가 곱하기 사용전력량이며, 단가는 매분기 변동하는 기준입니다.
5. 부가가치세=전기요금×10%
부가가치세는 산출한 전기요금의 10%만큼 부과됩니다. 원미만 금액은 반올림하는 방식입니다.
6. 전력산업기반기금=전기요금×3.7%
전력산업기반기금은 전력산업의 기반조성에 필요한 재원으로, 모든 전기사용자를 대상으로 전기요금의 3.7%에 해당하는 돈을 기금 형태로 징수하고 있습니다.
전기세 인상
전기요금은 2022.7.1일부로 1kWh당 5원이 인상됩니다. 4인 가구 월평균 전기 사용량이 307kWh일 경우, 한 달 전기 요금 부담이 약 1,535원 늘어나는 것입니다. 전기세 인상은 발전원가가 오르면서 인상분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세 조회
전기세는 '스마트한전' 어플을 통해 회원가입 없이도 실시간 조회가 가능합니다. 스마트한전 어플에서는 월별요금조회, 전기요금납부, 우리집 전기요금 미리보기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전기세 실시간 조회는 우리집 전기요금 미리보기에서 일반주택인지 고압아파트인지를 선택하고 한전에 등록된 고객번호 입력 혹은 주소 검색을 통해 가능합니다. 네이버에서는 '전기요금 계산기'라고 검색하면 전기 사용량 입력만으로 예상 전기요금을 간단하게 조회 가능한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최적 사용전력량 구간
전기 사용이 많은 하계의 저압, 전력량요금(원/kWh)을 기준으로 보면 월 300kWh 이하로 사용할 경우 최저 단가 93.2원/kWh으로 전기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음 구간은 450kWh까지이며, 단가는 약 2배에 가까운 187.8원/kWh이므로 가능하다면 두 번째 구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겠으나, 에어컨 사용량이 많은 하계의 특성상 전기사용이 많은 점을 감안하더라도 세 번째 구간인 1,000kWh 이하(280.5원/kWh)는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사용전력량이 1,000kWh를 초과하는 전력량은 단가가 709.4원/kWh으로 최저 단가 대비 약 7.6배 높기 때문에 전기요금에 대한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전기요금 폭탄을 피하기 위하여 가능하다면 두 번째 구간까지 알뜰한 전기사용을 하거나, 두번째 구간이 어려울 경우 적어도 월 전기 사용량이 1,000kWh가 초과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합니다.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격리자 생활지원비 신청방법(2022.7.11. 이후 격리 시작) (0) | 2022.08.11 |
---|---|
전기요금 할인 신청방법 및 대상 (0) | 2022.07.25 |
알기 쉽게 바라보는 주택연금(2편) - 주택연금의 단점 (0) | 2022.07.05 |
알기 쉽게 바라보는 주택연금(1편) - 가입요건, 수령액, 사망시 (0) | 2022.07.03 |
2021년 소득분 근로장려금 기한 후 신청방법 (0) | 2022.06.29 |
댓글